본문 바로가기
  • 지니의 블로그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취미생활

자동차! 나에게 맞는 옵션은 무엇일까???(BSD편)

by SenSboy 2022. 1. 15.
728x90

 

1. BSD란?

BSD는 후측방 사각지대 경보장치(Blind Spot Detection, 이하 BSD)라는 뜻이며 

최근에 나오는 차들은 거의 필수옵션이라고 해도 무관할정도로 운전자에게

안보이는 뒷시야를 제공해주는 아주 친절한기계다.

후측방에 고속으로 접근해 오고있는 차량이나 안보이는 후측방 사각지대안에 사람 혹은 다른 자동차가 있으면

경고를 울리면서 운전자에게 직접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주로 신호는 사이드미러 안에 경고표시등이 자체적으로 

달려있어서 경고음이 울리거나 경고표시등이 점멸한다. 그리고 차선변경할경우에 차선변경이 어려운 초보자에게는 유용한 장치이기도 하다.

 

 

2. BSD종류

 

(1) 사각지대 경보장치 (BSA : Blind Spot Assist)

사각지대 경보장치는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운전자차의 사각지대에 근접하여 접근할경우 속도와는 관계없이 C필러부근에 접근할경우 시각적으로 경보하는 기능입니다.

만약에 사각지대에 차량이 접근하는경우에도 불구하고 차선변경을 하려고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면 경고로 소리가 울립니다. 

BSA가 적용된 차량의 예로는 벤츠E-클래스가 대표적입니다.

 

(2) 차선 변경지원 시스템 (LCA : Lane Change Assist)

차선 변경지원 시스템은 BSA의 상위호환으로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사각지대에 없더라도 후측방에서 접근하는차가 매우 빠른속도로 운전자 차의 B필러에 도달하기 전까지가 3초이내일경우 BSD경고심벌을 띄운다.

그렇기 때문에 차선변경할때 후측방에 접근하는차가 빠르면 차선변경을 하지말라는 경고심벌을 띄움으로써 안전하게 차선변경을 더욱 효율적으로 돕는 장치이다.

LCA가 적용된차량의 예로는 현대의 LF쏘나타차량이 대표적입니다.

 

 

(3) 후측방 충돌방지 시스템 (ABSD : Active Blind Spot Detection)

후측방 충돌방지 시스템인 ABSD는 편제동이 추가로 장착된 BSD입니다.

앞에서 설명했던 BSA와 LCA경우 사각지대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있을경우에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면 단순하게 시각, 청각적으로 경보만 합니다. 그러나 ABSD는 차선변경하고 충돌이 예상이된다면 진행하고자하는 반대편바퀴에 편제동을 걸어주는 기능입니다. 이렇게되면 차량은 차선변경을 하지못하게되고 원래차선을 유지하게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ABSD가 적용된 차량의 예로는 그랜져IG, 제네시스EQ900등...이 있습니다.

 

(4) 후측방 모니터링 시스템 (BVM : Blind-Spot View Monitor)

이번엔 가장최근에 기능이 추가된 후측방 모니터링 시스템(BVM)입니다.

기존 BSD는 운전자가 반드시 사이드를 봐야하고 만약 사이드미러에 이물질이나 흙, 비오는날이면 제대로 시야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BVM의경우 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카메라로 인해 계기판 클러스터에 운전자 후측방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낭입니다. BVM기능덕에 악천후에도 후측방쪽 접근하는차를 왜곡없이 볼수있을뿐만 아니라 굳이 사이드미러를 안봐도 차선변경을 할수 있게 됬습니다. 하지만 안전이 우선인만큼 사이드미러를 직접보는게 낫다는게 더 좋지않나...라는 작성자의 개인적인 생각이 듭니다.ㅎㅎ

 

 

(5) 후방 교차 충돌방지 시스템 (RCCA :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출처 : 기아자동차

마지막으로 후방교차 충돌방지 시스템(RCCA)입니다. 

RCCA는 자차량이 후진을 하려고할때 후측방쪽에 교차로 다니는 차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차량을 후진할경우에는 차량스스로가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자차량 스스로 제동을 조종하여 일시적으로 차량을 정차시키는 기능입니다.

통상적으로 교차로에서 유턴을 할경우에 4차선같이 좁은도로에서는 한번 후진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그때 교차로에서 다른차가 접근을 할경우 스스로 일시적으로 차량을 멈추어서 충돌위험을 줄여주는 기능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RCCA기능이 있다면 충돌을 스스로 능동적으로 막아주며 많은 운전자들이 도움을 받고있는 기능입니다.

RCCA기능이 적용된 차량의 예로는 싼타페 TM이 대표적 입니다.

 

3. BSD의 장, 단점

BSD는 장점으로는 초보운전자분들에게는 고마운 기능이라고 할수있다. 

대부분 처음 운전을 접할때 가장큰 고비가 차선변경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차선변경할때 사이드미러는 거의 필수로 보는데 초보분들은 후측방에 오는차가 어느쯤에 오는지 가늠이 잘 되지않는 경우가 많다.

그럴때 사이드미러를 볼때 후측방 경고등과 함께보면 점멸이 됬을땐 당연히 차선변경을 안하면 되고

점멸이 꺼졌을땐 안전하게 차선변경을 하기위해 도와주는 운전자한테는 아주 도움이 되는 기능이다.

그리고 야간이나 우천시에는 매우 유용하다. 빗방울이 사이드미러에 많이 맺혀있어도 점멸되는건 확연히 보일수 있기 때문이다.

 

단점으로는 사각지대에 접근하는 대상의 감지가 완벽하지는 않다. 즉 오류로 울릴수도 있기때문이다.

경보가 지속적으로 울리는것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면서 운전하게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도심저속구간에는 반복적으로 울려서 운전자를 짜증나게 하는경우도 있다.

순정으로 새로 장착할시에는 비용이 100이상들기때문에 사전에 옵션으로 넣는게 좋다.

댓글